본문 바로가기
영어 표현의 기원^^

On the Grapevine, On the Wagon의 기원

by mathilda72 2023. 8. 4.
반응형

영어를 표현하는 문장에는 우리가 아는 단어의 사전적인 의미로는 이해가 되지 않는 구문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본 카테고리에서는 영어 구문에 쓰인 표현들의 기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On the Grapevine'과 'On the Wagon' 기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On the Grapevine

 

소문에 귀를 기울이는 사람들의 모습
소문에 귀를 기울이는 사람들의 모습

1) 의미

  소문으로, 풍문으로
(To hear as rumor; to learn through friends of friends)는 뜻입니다.

 

2) 예문

◈ They heard the news on the grapevine

 - 그들은 풍문으로 그 소식을 들었다.


☞ 단어 check: hear - heard - heard → 동사 hear(~을 듣다)의 원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 news 소식
 
 

◈ Don't trust what you hear on the grapevine

 - 소문으로 들은 것은 믿지 말아야 한다.

 
☞ 단어 check: trust ~을 믿다, 신뢰하다 / what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하는 것
 

 

 

◈ I heard on the grapevine that Jack and Lisa be about to break up.

 - 나는 Jack과 Lisa가 헤어질 거라는 소문을 들었어.

 
☞ 단어 check: be about to 막 ~하려고 하다 / break up 헤어지다, 끝나다
 
 

3) 'On the Grapevine'의 기원

포도덩굴

사전적인 의미로는 '포도 덩굴처럼 얽힌 상태인 '이라는 뜻을 지닌 'On the Grapevine' 

 

- 미국의 전신 기술이 시작되었던 초기에 기원하였다고 전하여집니다.
 
- 사무엘 모스(Samuel Finley Breese Morse, 1791~1872)는
 
- 1843년에 전신(telegraph)을 처음 실용화 하였고
 
- 이 모스의 전신은 당시에 신속하면서도 유용한 소통의 수단으로 인정을 받게 됩니다.

- 그래서 미국 전역의 많은 기업을 상업적으로 가치가 있는 이 전신을 상용화하려고
 
- 전신선을 여기저기로 서둘러 설치를 하게 되지요.
 
- 또한 일부의 기업들은 돈을 아끼며 전신선을 설치하려고 원칙을 무시하고
 
- 고정된 전신주 대신에 나무를 사용하여 전신선을 설치하게 되었고
 
- 나무가 자라면서 전신주들이 얽히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 캘리포니아(California)에서는 사람들이 그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던 포도덩굴(grapevine)
 
- 이리저리 얽힌 전신선을 비유한 대표적인 사례가 있었다고 합니다.
 
- 또한 미국의 남북전쟁(American Civil War, 1861~1865)을 거치면서 'On the Grapevine'은
 
- 전신을 통하여 전달이 된 메시지는 믿지 못할 정보일 경우가 적지 않은 탓에
 
- '믿지 못할 소문이나 풍문'이라는 오늘날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고 합니다^^
 
 

2. On the Wagon

금주중인 사람의 모습
금주중인 사람의 모습

1) 의미

  금주중인, 술을 마시지 않는
(not drinking; abstaining from alcohol)는 뜻입니다.

 

2) 예문

◈  I'm so sorry but I might go on the wagon for a bit.

 - 유감스럽지만 전 한동안 술을 마시지 못할 것 같아요.


☞ 단어 check: be so sorry but 유감스럽지만 / for a bit 잠시동안
 
 

◈ Don't offer Kelly any wine, she's on the wagon.

 - Kelly에게 와인을 권하지 마라고, 금주중이거든.


☞ 단어 check: offer ~을 권하다, 제안하다 / any (부정문에서) 어떤~라도
 

◈ None for me, thanks. I'm on the wagon.

 - 고맙지만, 나는 됐어, 금주 중이야.


☞ 단어 check: thanks 고맙다
 

3) 'On the Wagon'의 기원

- 이 표현의 기원에는 두 가지 설이 존재합니다. 
 
- 그 한 가지는 과거에 죄수들이 마지막 술을 마시고 런던의 중앙형사법원에서
 
- 마차를 타고 교수형장까지 오게 되는 과정에서
 
- 교수형에 처하기 전에 범죄자들이 마지막 한잔의 술(one for the road)을 주었던 것에서 기원이 되었다는 설,
 
- 20세기 초에 미국에서 먼지가 심한 거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 급수차(water wagon)를 사용하게 되는데, 술 소비량이 높았던 이 시기에
 
- 급수차가 도착하기를 기다리면서 술을 끊겠다고 맹세한 사람들이 
 
- 갈증을 참아가면서 운집해 있거나
 
- 아예 어떤 사람들은 이 급수차를 타고 돌아다녔던 상황에서 
 
- 이 'On the Wagon'  표현의 기원이 오늘날의 '금주중인'이라는 의미가 되었다는 기원설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