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표현의 기원^^

Read between the Lines, An Ax to Grind의 기원

by mathilda72 2023. 7. 29.
반응형

영어를 표현하는 문장에는 우리가 아는 단어의 사전적인 의미로는 이해가 되지 않는 구문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본 카테고리에서는 영어 구문에 쓰인 표현들의 기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Read between the Lines', 와 'An Ax to Grind'
 
기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Read between the Lines 

1) 의미

 
 행간을 읽다, 숨겨진 뜻을 알아내다, 의중을 이해하다

(to try to understand someone's real feeling or intentions from what they say or write)라는 의미입니다.

 

2) 예문

 

Do not believe everything you hear. Learn to read between the lines.
 
 - 당신이 들은 모든 것을 믿어서는 안 된다고. 숨겨진 뜻을 알아내는 법을 배워야지.

 

☞ 단어 check: believe ~을 믿다 / Learn to ~하는 것을 배우다

 

If he is smart, he'll read between the lines and reconsider
 
 - 그가 똑똑한 사람이라면 행간을 읽고 다시 생각할 것입니다. 

 

☞ 단어 check: reconsider ~을 다시 생각하다

 

 Mark's girlfriend canceled their date twice, so he read between the lines and realized it was probably over.
 
 - Mark의 여자 친구가 두 번이나 데이트를 취소했으니, 그는 행간을 읽고  아마도 그들의 관계가 끝나가고 있음을 알게 될 거야.

 

☞ 단어 check: cancel~을 취소하다 / twice 두 번, 두 배의 / realize ~을 깨닫다 / probably 아마도 / over ~이 끝이 난

 

3) 'Read between the Lines'의 기원

 


- 이 표현은 19세기 초창기에 암호를 해독하거나 암호 작성법에서 기원이 된 표현이라 전하여집니다.

 

- 암호 작성법은 겉으로는 전달할 메시지를 관련성이 없는 문장으로 암호화하는 작업으로,

 

- 초창기에 암호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사용한 것 중에서 하나는

 

- 본래의 메시지의 행을 하나씩 걸러서 쓴 다음

 

- 관련 없는 메시지를 행 전체에 썼다는 것입니다.

 

- 그래도 메세지 전체를 읽는 데에는 큰 문제없이 단순하면서도 의미가 통하니 

 

- 암호가 드러나지 않았습니다줄 사이사이를 읽으면 암호의 내용이 나타났던 거였죠^^

 

- 그래서  'Read between the Lines'라는 표현이 '숨겨진 의도를 알다'라는 의미로 쓰이게 되었답니다.

 

2. An Ax to Grind 

문장의 숨겨진 의도를 찾는 모습

1) 의미

 
딴 속셈, 숨은 의도나 목적

(a plot in mind, hidden intentions)라는 의미입니다.

 

2) 예문

 

I wonder if she has an ax to grind
 
 - 그녀에게 뭔가 다른 속셈이 있는지가 궁금한데.

 

☞ 단어 check: wonder if ~인지 아닌지가 궁금하다

 

 Anyone that doesn't have an ax to grind with you?
 
 - 너에게 다른 속셈을 갖고 있는 사람이 없었던 적이 있기는 했어?

 

☞ 단어 check: anyone (부정문, 의문문에서) 누구나, 아무나

 

 John claimed to be disinterested in the outcome, but I knew he had an ax to grind.
 
 - John은 결과에는 관심이 없다고는 했지만, 내가 알기로는 그는 딴 속셈이 있다니까!

 

☞ 단어 check: be disinterested in ~에 관심이 없는 / disinterested ↔ interested(관심 있는) /  outcome 결과

 

3) 'An Ax to Grind'의 기원

숫돌을 갈고 있는 모습

'An Ax to Grind'는 '갈아야 할 도끼'라는 사전적인 의미를 지니는 이 표현은

 

-미국 독립 선언문(Declaration of Independence, 1776)의 기초 위원이자

 

- 미국 건국의 아버지 중의 1인으로 블리는

 

- 벤자민 플랭클린(Benjamin Franklin, 1706~1790)이 쓴 자서전의 일화에서 기원이 되었습니다.

 

 

- 도끼를 갈고 싶은 남자가 어느 날 무뎌진 도끼날을 갈려고 벤저민에게

 

- 회전 숫돌 사용법을 가르쳐달라고 부탁하게 되고

 

- 이에 벤자민이 정성껏 가르쳐주며 날을 갈아주었는데

 

- 그 남자는 자기 목적을 달성했다는 듯 벤저민을 비웃으며 유유히 사라졌다는 일화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 직접적으로 벤자민 플랭클린의 일화에 이 'An Ax to Grind' 구절이 언급된 것은 아니나

 

- 벤자민 플랭클린의 이야기에 기반을 두었던 찰스 마이너(Charles Miner)의 글에 이 표현이 언급이 됩니다.

 

- 찰스 마이너(Charles Miner)는 1810년 미국의 국회의원으로 그가 쓴

 

- 「누가 숫돌을 돌릴 것인가(Who'll Turn Grindstone)?」라는 글에 'An Ax to Grind' 표현이 나오며,

 

- 이를 토대로 'An Ax to Grind'이 벤자민 플랭클린의 일화에서 기원이 되었다고 합니다^^

 

 

 

 

 

 

 

 

반응형